본문 바로가기

IT/Drone

(24)
드론 필수템 에코플로우 리버 프로 한글 사용자 매뉴얼 ECOFLOW RIVER PRO user manual 야외 충전을 위한 배터리 에코플로우 한글 설명서 에코플로우 리버프로 캠핑용 파워뱅크 720Wh COUPANG www.coupang.com 출처 : 에코플로우 공식홈페이지 다운로드 센터 Download Center 파워뱅크 EcoFlow RIVER mini Wireless 무선 리버미니 사용자 설명서 EcoFlow RIVER Max 리버맥스 사용자 설명서 EcoFlow RIVER Max Plus 리버맥스 플러스 사용자 설명서 EcoFlow RIVER Pro 리버프로 사용자 설명서 Eco kr.ecoflow.com *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DJI FPV 조종기 2 바인딩 안되는 문제해결 방법 (DJI 아바타, liftoff DJI FPV 조종기 2 연결방법) DJI 아바타 프로뷰 콤보 구입 시 DJI FPV 조종기 2를 별도 20만원을 추가지출해야 되고 돈지랄의 결과물과 DJI AVATA와 바인딩이 안되는 문제가 있다 고글2 상에서 설정>정보에 보면 모션 컨트롤러 바인딩은 문제가 없으나 모션 컨트롤러를 끄고 FPV 조종기2를 연결바인딩하는데 짜증이 나기 시작함 바인딩 방법은 AVATA 기체를 켠 상태로 전원버튼을 꾹 눌러주면 LED 등이 순차적으로 깜빡이기 시작하고 이 때 FPV 조종기 2 역시 전원을 켠 상태로 전원버튼을 꾹 눌러주면 순차적으로 깜빡이며 바인딩 되어야하는데 바인딩이 된거 같다가도 정상적으로 되지 않고 실패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아래 경로에서 DJI Assistant 2를 다운로드 받고 설치 https://www.dji.com/kr..
초경량비행장치사용사업 등록 셀프 신고 방법 1. 보험보험가입 2. 비행장치 신고 (드론원스톱 민원서비스) 3. 사업등록 신고 (드론원스톱 민원서비스) 진행 순서는 위와 같이 3가지로 구분되며 보험가입을 해야 비행장치 신고를 할 수 있고 비행장치 신고를 해야 사업등록 신고를 할 수 있다 총 소요된 시일은 약 2주 (사업등록 신고가 가장 오래 걸렸음😇) 모든 것이 완료되기까지의 기록을 남깁니다 사용용도가 영리인 경우 무게에 상관없이 모두 장치 신고를 해야한다. (비영리여도 최대이륙중량이 2kg 초과 시 신고) 그렇다면 영리와 비영리의 판단 기준은? 타인의 요구에 의해 돈을 받고 사용한다면 무조건 영리..유튜브의 경우 타인의 요구에 의한것은 것은 아닐 수 있지만 수익이 발생하는 채널의 경우라면 스스로 잘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결국 본인의 판단이 중요..
드론 조종자 준수사항 및 주요사항 위반 시 처벌, 과태료 조종자 준수(금지)사항 - 인명이나 재산에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낙하물을 투하(投下)하는 행위 - 주거지역, 상업지역 등 인구가 밀집된 지역이나 그 밖에 사람이 많이 모인 장소의 상공에서 인명 또는 재산에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방법으로 비행하는 행위 - 사람 또는 건축물이 밀집된 지역의 상공에서 건축물과 충돌할 우려가 있는 방법으로 근접하여 비행하는 행위 - 고도 150m 이상 및 관제공역ㆍ통제공역ㆍ주의공역에서 비행하는 행위(비행승인 받은 경우 제외) - 안개 등으로 인하여 지상목표물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는 상태에서 비행하는 행위 - 주류, 마약류, 환각물질 등을 비행 전 또는 비행중에 섭취하거나 사용하는 행위 - 일몰 후부터 일출 전까지의 야간에 비행하는 행위(특별비행승인 받은 경우 제외..
드론 비행승인, 항공촬영 신청은? 드론원스톱 민원서비스(feat. DJI 미니 3 프로) 취미로 드론을 날리는 시대 항공촬영을 하기 전 비행승인과 항공촬영 승인은 미리 받아두어야 합니다. 꼭 잘 챙겨서 미리 받아두는게 좋겠죠? 먼저 비행가능공역에 대해서 알아보면 무인동력비행장치(드론) 비행가능공역 : 초경량비행장치 비행공역(UA)에서는 비행승인 없이 비행이 가능하며, 기본적으로 그 외 지역은 비행승인 후 비행이 가능 최대이륙중량 25kg 이하의 무인동력비행장치(드론)는 관제권 및 비행금지 공역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150m미만의 고도에서는 비행승인 없이 비행 가능 비행가능 공역, 비행금지공역 및 관제권 현황은 국토교통부에서 제작한 스마트폰 어플 Ready to Fly에서 확인 가능 따라서 일반 취미용으로 날리는 드론은 최대이륙중량 25kg 이하 기체이고 고도 150m (500ft) 미만으로 비..
드론 조종자 준수사항 조종자 준수 사항 인명이나 재산에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낙하물을 투하하는 행위 인구가 밀집된 지역 기타 사람이 운집한 장소의 상공에서 인명 또는 재산에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방법으로 비행하는 행위 비행계획의 승인을 얻지 아니하고 무인비행장치 비행제한공역에서 비행하거나 관제권·비행금지구역에서 비행하는 행위. 다만, 다음의 행위와 지방항공청의 허가를 받은 경우에는 제외 관제권, 비행금지구역이 아닌 곳에서 무인비행기, 무인헬리콥터 또는 무인멀티콥터 중 최대이륙중량이 25kg 이하이고 최저비행고도(150m) 미만 고도에서 비행하는 경우 비행승인 대상에서 제외 관제권, 비행금지구역이 아닌 곳에서 무인비행선 중 연료의 무게를 제외한 자체 무게가 12kg이하이고, 길이가 7m이하인 경우 비행 승인 대상에서..
드론 자격증(1종, 2종, 3종, 4종) 차이점 및 기체 무게 초경량비행장치 무인멀티콥터 조종자 1종, 2종, 3종, 4종 자격증별 비행할 수 있는 운영기체 종류 초경량비행장치 무인멀티콥터 자격증명 무게기준 (최대이륙중량) 비행시간 1종 (필기, 실기) 25kg 초과 연료를 제외한 자체중량 150kg 이하 1종 기체를 조종한 시간 20시간 (2종자격 취득자 5시간, 3종자격 취득자 3시간 이내 인정) 2종 자격 업무범위 포함 2종 (필기, 실기) 7kg 초과 25kg 이하 1종 또는 2종 기체를 조종한 시간 10시간 (3종 자격 취득자 3시간 이내 인정) 3종 자격 업무범위 포함 3종 (실기) 2kg 초과 7kg 이하 1종 또는 2종 또는 3종 기체를 조종한 시간 6시간 4종 자격 업무범위 포함 4종 (온라인 교육) 250g 초과 2kg 이하 온라인 교육 6시간(비..
초경량비행장치 무인멀티콥터(드론) 조종자 자격 증명 1종 구술평가 예상 문제 2021년 12월 기준으로 공부한 내용으로 이 후 시험에도 대부분 대동소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무인멀티콥터 조종자 자격 1종을 취득하면서 구술 준비했던 내용 조종자준주사항, 비행금지구역은 필히 숙지하고 있어야 하며 감독관별로 다르겠지만 구술평가에서는 6문제 정도 질문했고 크게 어려움은 없었다 혹시나 틀린 정보가 있으면 댓글달아주세요 ------------------------------------------------------------------------- 1.기체관련 사항 운용 기체 형식: 초경량비행장치의 범위 중 최대이륙중량 25kg 초과 150kg 이하 무인멀티콥터 E616S-ED의 크기: 가로, 세로 1723mm 높이 560mm *운영기체 안정성 인증검사: 최대이륙중량 25kg 초과하므로 안..